본문 바로가기
세미나

Level Up - 첫 출근부터 끝까지 다함께 레벨업(초기)

by Tom_dev 2024. 2. 13.

일을 잘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? 우당탕탕 경험을 바탕으로 세운 일을 대하는 태도와 기준

 

일을 시작하는 당신에게

  • 태도 및 기준

기대치는 나, 회사 모두에게 양방향으로 적용

개인도 회사에서 성취를 이루기를 바라고

회사도 내가 달성하기를 바라는 것이 있음

= 양방향의 기대치가 비슷한 선상에 있어야 서로가 행복하다.

그러나 서로의 기대치가 맞지 않다면?

 

개인의 역량 < 회사가 내게 기대하는 것

  • 개인의 최대 역량 대비 보상이 낮게 평가/보상
  • 이러한 기대치에 충족하기 위해 무리

내가 회사에 기대하는 것 > 회사가 주고있는 것

  • 높은 수준의 task 를 경험해볼 수 없음으로 성장할 기회가 없는 곳이라고 판단
  • 회사는 인적 자원을 낭비 (개인의 resource 를 최대한 활용할 수 없음)

핵심은 기대치를 조절하기

전제

회사의 타이틀, 취업 공고에 제시된 기술 스택이 전부가 아니다. 회사가 제시한 일에 대한 설명을 상세하게 확인하고 어떤 일을 할지를 중점으로 파악하고 개인은 회사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한다.

입사 후

수습기간인, 3개월 동안 기대치와, 눈앞의 일을 보고 달성할 목표 수립

이후, 회사의 기대치를 대변할 수 있는 리더와 지속적 소통 후 조정

수습 후

단기/중기/장기 목표에 대한 계획을 리더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수립 회사의 목표 설정, 리더와 1 on 1 등 활용 팀원이 명확한 목표를 기반으로 성과를 내게 하는 건 리더의 중요한 역할

중요한 건, 기대치를 혼자만 갖고있지 말라는 점 개인과 회사의 기대치를 정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

스스로 적응하기, Self Onboarding (초기)

what?

온보딩 과정에서 해야할 것은 목표 설정

  • 앞에서 말한 기대치 조절을 통해 얻을 수 있다.
  •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

how?

  • 쿠폰 시스템을 중심에 두고 전체 시스템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큰 흐름 파악
  • 큰 흐름, 프로젝트 구조, 난이도가 낮아 보이는 이슈 하나, 문서화, 공유, 피드백 요청

시작은 전체 시스템이 상호작용 하는 큰 흐름을 파악에서 시작한다.

주요 API 하나를 선정하여 흐름을 디버깅 하며 프로젝트 구조를 파악한다

이후 이슈 백로그 중 난이도가 낮아보이는 이슈 하나를 해결한다.

앞서 제시된 3가지 단계 마다 문서화

해당 문서화를 바탕으로 사내 메신저에 문서를 공유피드백을 요청한다.

 

 

 

 

이러한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것

시스템에 대한 자신감

아주 작은 이슈를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프로세스 선경험

피드백 과정을 거치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 파악 + 이슈 및 트러블 슈팅 처리 플로우 확인

프로세스동료에 대한 파악을 위해 온보딩 시기를 활용한다.

심리적 안정감 확보하기

온보딩 기간은…

눈치 보지 않고 질문할 수 있는 시기

실수를 하지 않으면 오히려 이상한 시기

너무나 도움이 필요한 시기

자유로운 의견에 대한 허용 범위가 넓은 시기

즉, 질문/도움에 대한 채널을 찾고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는 시기

만약 실수도 없고, 도움이 필요없는 신규 입사자는 도움 없이도 잘 하는 척 일 가능성이 높다. (매우 위험)

'세미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NFCON2023 - 지속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경험과 통찰  (0) 2024.02.13
CodeReivew  (1) 2023.10.19